
215억원을 들인 한국형 블록버스터. 전체적인 분위기는 '킹덤 오브 헤븐'과 '300'을 한국형으로 버무린 영화 같다. 그런데, 생각보다 잘 만들었다. '토탈워' 류의 대규모 전쟁 게임을 해 본 사람은 잘 알듯한 대규모 공성전이 제대로 묘사 되고 (대형 투석기, 사다리, 공성탑 등...) 이에 대한 수성하는 쪽의 파해법도 제대로다.
영화는 초반부터 대규모 전투신으로 시작된다. 당나라 태종 이세민의 20만 대군과 연개소문의 15만 대군이 주필산 평야에서 힘대힘으로 맞선다. 평지에서의 전투는 동등한 조건이라면 숫자의 우위가 결과를 결정짓는다. 고구려 군은 철갑을 두른 기마부대를 앞세워 빗발치는 화살을 뚫고 당나라 보병들을 찍어 누르지만, 당나라 군사 (보통 군기가 잡히지 않은 오합지졸을 '당나라 군대'라고 놀리지만, 영화에서는 제대로 잘 싸운다.) 들은 제대로 버틴다.
그 사이에 숨어 있던 당나라 기마 부대가 고구려 군의 뒤를 친다. 일명 '망치와 모루' 전술의 제대로 된 실사판 구현이라고 할 수 있겠다. 대패한 고구려 군은 평양성으로 후퇴하고, 이제 남은 성은 겨우 군사 5천명이 지키는, '양만춘'이 성주로 있는 '안시성' 뿐이다. '양만춘'은 어떤 인물인가? 을지문덕 이후 고구려의 마지막 명장이라고 할 수 있는 인물로 연개소문의 집합 명령에 따르지 않은 반골 기질의 소유자다. (그러나 실제 역사서에 양만춘 (오래된 역사서에는 안시성주라고 나오지, 양만춘이라는 이름도 후대에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이 연개소문과 극한의 대립을 벌였다는 기록은 없다고... 그저 애민 정신이 투철한 지략과 전술에 능한 변방의 장수였을 뿐...)
영화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당나라 군사의 토성 축조는 역사적 사실이다. 그 토성을 정점으로 전쟁의 승부가 난 것도 사실이다.
역사서에 단 한줄 나와 있는 기록을 토대로 135분이라는 장엄한 서사시를 이끌어 낸 감독 (그가 직접 각본을 썼다.)의 재능에 경의를 표한다.
* 안시성이 산을 배후에 둔 토성이었다는 점. 규모가 작았다는 점이 20만 대군에 맞설수 있었던 전략적 요인이 아니었을까 싶다. 너른 벌판에서의 20만 대군이라도, 좁은 폭에서는 천명의 겹겹이 쌓인 병사로 치환될 뿐이다.
* 영화에서 단 한가지 아쉬움이 있었다면 주인공 조인성의 발성(목소리)랄까? 좀 더 저음의 진중한 목소리였으면 인물이 좀 더 살지 않았을까? (한 편으로, 장군의 목소리가 중저음의 무거운 톤이어야 한다는 것도 편견일지 모른다. 소프라노 톤의 가벼운 목소리의 용맹한 장수가 없었다고 누가 장담할 수 있을 것인가.)
<김광식 감독 / 조인성, 배성우, 남주혁, 박성웅 주연 / 2018년 개봉>
덧글